지난 포스팅에서는 word2vec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NLP#3] 추론 기반(word2vec) 지난 시간에는 통계 기반을 통해 단어의 분산 표현을 얻어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NLP#2] 통계 기반 저번 포스팅에서는 thesaurus를 통해 컴퓨터에게 자연어의 의미 전달하는 방법에 just-data.tistory.com 이번 시간에는 드디어 RNN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잠시 지난 시간의 word2vec을 복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word2vec에서는 앞뒤의 맥락을 통해 가운데 target 단어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단어 분산 표현을 만들었습니다. 만약 앞뒤가 아니라 왼쪽 맥락만 고려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사람이 말을 하는 관점으로 보면 두 번째 방식이 오히려 직관적인 것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