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ematics

[선형대수학#2] 행렬

j.d 2025. 9. 21. 22:40
선형대수학 기초: 행렬과 벡터

선형대수학 기초: 행렬과 벡터

이번 글에서는 행렬(Matrix)벡터(Vector), 그리고 이들의 연산과 연립 일차 방정식과의 관계를 다룹니다.

목차
  1. 행렬
  2. 벡터
  3. 행렬의 연산
  4. 행렬과 일차 방정식

1) 행렬 (Matrix)

행렬(matrix)은 수를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m \times n\) 행렬은 \(m\)개의 행(row)과 \(n\)개의 열(column)을 갖습니다.

\[ A = \begin{bmatrix} a_{11} & a_{12} & \cdots & a_{1n} \\ a_{21} & a_{22} & \cdots & a_{2n} \\ \vdots & \vdots & \ddots & \vdots \\ a_{m1} & a_{m2} & \cdots & a_{mn} \end{bmatrix} \]

2) 벡터 (Vector)

벡터(vector)는 방향과 크기를 가진 수의 집합으로, 보통 열벡터 형태로 표현합니다.

\[ \mathbf{v} = \begin{bmatrix} v_1 \\ v_2 \\ \vdots \\ v_n \end{bmatrix} \]

예를 들어, 2차원 벡터 \(\mathbf{v} = \begin{bmatrix} 3 \\ 4 \end{bmatrix}\)는 좌표평면에서 (3, 4)에 해당합니다.

3) 행렬의 연산

같은 행렬

두 행렬이 같다는 것은 크기가 같고, 같은 위치의 원소가 모두 동일함을 의미합니다.

행렬의 덧셈

같은 크기의 행렬끼리는 각 원소를 더하여 새로운 행렬을 만듭니다.

\[ A + B = \begin{bmatrix} a_{11}+b_{11} & a_{12}+b_{12} \\ a_{21}+b_{21} & a_{22}+b_{22} \end{bmatrix} \]

행렬의 실수배

행렬의 모든 원소에 어떤 실수 \(c\)를 곱하는 것을 실수배라 합니다.

\[ cA = \begin{bmatrix} ca_{11} & ca_{12} \\ ca_{21} & ca_{22} \end{bmatrix} \]

일차 결합 (Linear Combination)

벡터 \(\mathbf{v}_1, \mathbf{v}_2, \dots, \mathbf{v}_k\)가 있을 때, 실수 \(c_1, \dots, c_k\)를 곱하고 더한 형태 \(\;c_1\mathbf{v}_1 + c_2\mathbf{v}_2 + \cdots + c_k\mathbf{v}_k\;\)를 일차 결합이라 합니다.

전치 행렬 (Transpose)

행렬의 행과 열을 맞바꾼 행렬을 전치 행렬이라고 합니다. \(A^T\)로 표기합니다.

\[ A = \begin{bmatrix} 1 & 2 \\ 3 & 4 \end{bmatrix}, \quad A^T = \begin{bmatrix} 1 & 3 \\ 2 & 4 \end{bmatrix} \]

행렬의 곱셈

\(m \times n\) 행렬 \(A\)와 \(n \times p\) 행렬 \(B\)가 있을 때, 곱 \(AB\)는 \(m \times p\) 행렬이 됩니다.

곱의 원소는 \((AB)_{ij} = \sum_{k=1}^n a_{ik} b_{kj}\)로 정의됩니다.

벡터의 내적 (Inner Product, Dot Product)

두 벡터 \(\mathbf{u}, \mathbf{v} \in \mathbb{R}^n\)의 내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mathbf{u} \cdot \mathbf{v} = u_1v_1 + u_2v_2 + \cdots + u_nv_n \]

예를 들어, \(\mathbf{u} = [1,2]\), \(\mathbf{v} = [3,4]\)라면 \(\mathbf{u} \cdot \mathbf{v} = 1\cdot3 + 2\cdot4 = 11\)이 됩니다.

4) 행렬과 일차 방정식

행렬과 벡터의 곱

행렬 \(A\)와 벡터 \(\mathbf{x}\)의 곱은 선형결합을 표현합니다.

\[ A\mathbf{x} = \begin{bmatrix} a_{11} & a_{12} \\ a_{21} & a_{22} \end{bmatrix} \begin{bmatrix} x_1 \\ x_2 \end{bmatrix} = \begin{bmatrix} a_{11}x_1 + a_{12}x_2 \\ a_{21}x_1 + a_{22}x_2 \end{bmatrix} \]

행렬과 연립 일차 방정식 간의 관계

연립 일차 방정식은 행렬 곱으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 \begin{cases} a_{11}x_1 + a_{12}x_2 = b_1 \\ a_{21}x_1 + a_{22}x_2 = b_2 \end{cases} \quad \longleftrightarrow \quad A\mathbf{x} = \mathbf{b} \]

즉, 연립 일차 방정식은 행렬 방정식 \(A\mathbf{x}=\mathbf{b}\)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는 선형대수학의 핵심 표현 방식입니다.